강동경희대병원에 입원 중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가 증상 발현 후 병원 내 투석실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투석실 이용 시간이 긴데다가 이용자 수도 100명이 넘어 이 병원에서의 추가 감염이 우려된다죠?  

=. 그렇습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위원회는 18일 이날 메르스 환자로 추가된 165번 환자가 증상 발현 후 투석실에서 치료를 받아 투석실 이용 환자 111명을 격리하고 165번 환자와의 접촉 정도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165번 환자는 9일 메르스 증상이 발현한 후 16일까지 2∼3일 간격으로 강동경희대병원의 지하1층 투석실에서 치료를 받았는데, 강동경희대병원은 76번 환자가 6일 응급실에 머무른 적이 있어 집중관리병원으로 지정돼 기관 코호트 격리를 받고 있는 곳입니다.

-. 165번 환자는 76번 환자(75·여)가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은 시간에 이 병원에 내원해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고요?

=. 하지만 165번 환자는 증상 발현 이후에도 한동안 격리조치가 되지 않았다가 16일 고열이 발생해 유전자 검사를 통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고, 곧바로 방역당국은 이 기간 해당 병원에서 투석실을 이용한 환자는 111명으로 파악해 자가격리 조치했습니다.

아울러 이 중 3명은 자가격리된 상태에서 스스로 혈액을 투석할 수 있는 환자들이고 5명은 입원 중인데, 다만 당국은 외래로 투석한 103명의 조치 방안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이날 김창보 서울시 보건기획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서울시 입장은 가급적이면 103명을 다 병원 안에서 처리하는 게 좋겠다는 건데 병원 측은 그렇게 하려면 입원 환자들을 다른 병원으로 전원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운 점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면서요?

=. 또한 김 기획관은 "혈액투석 환자들은 면역력이 약하기도 하고 투석을 정기적으로 받지 않으면 사망률이 높아질 위험도 있어 현재 강동경희대병원에 혈액투석학회 전문가들이 나와 자문하고 같이 상의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이 중 165번 환자와 같은 시간대에 투석실을 이용한 환자는 일부이지만 투석실 치료 시간이 통상 4시간 정도로 긴 편인데다 환자간 병상의 거리도 가까워서 동시간 이용자들의 경우 접촉 정도가 높은 편입니다.

-. 메르스는 혈액을 통해서 전염된 사례는 없지만 투석을 받은 환자 중에서는 메르스에 취약한 기저질환인 신장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많은 셈이군요?

=. 이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투석실 이용환자의 수가 많아서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 긴급 대책을 시행 중"이라며 "환자들이 격리 중에도 정기적으로 투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이 병원에서 감염 환자가 발생한 것은 165번 환자가 두번째인데, 나머지 1명은 이 병원 응급실 레지던트인 160번 환자(31)로 17일 확진자로 추가됐습니다.

 

▲ 강동경희대병원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