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정년 60세 시행을 앞두고 근로자 10명 중 7명이 임금피크제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세한 소식 전해드립니다.

-응답자의 72.8%는 '임금피크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고요.

=그렇습니다.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가 종업원 100인 이상 기업 소속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7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2.8%는 '임금피크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임금피크제 도입에 찬성한 이유로는 '실질적 고용안정이 가능하다'(56.3%)는 응답(복수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신규채용 확대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37.6%로 뒤를 이었습니다.

-도입이 불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요.

=도입이 불필요한 이유로는 '기업 경쟁력은 인건비 절감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높여야 한다'(44.5%)는 응답을 가장 많이 했습니다. '임금 감소'를 꼽은 응답도 38.6%에 달했습니다.
임금피크제가 도입될 경우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임금 조정수준은 평균 16.5%였습니다. 조정구간별로 보면 '10∼20% 미만'을 꼽은 응답이 39%로 가장 많았습니다.
정년 60세를 기준으로 몇 세부터 임금을 조정하는 것이 적정한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3%가 '55세'를 꼽았습니다.

-임금피크제 도입이 장년 근로자 고용안정과 청년 등 신규채용 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과반수가 긍정적으로 답했다고요.

=그렇습니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63.7%(복수응답)가 '정부지원 확대'를 꼽았습니다. 45.3%는 '기업의 고용안정 노력', 40.5%는 '노조와 근로자의 협력'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정년 연장을 돕고자 고용노동부가 고용노사관계학회, 인사관리학회, 인사조직학회와 함께 올해 발족한 단체인 '60세+ 정년 서포터즈' 활동의 하나로 이뤄졌습니다.
60세+ 정년 서포터즈가 주요 업종의 임금피크제 도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 근로자가 임금피크제에 들어간 후 정년까지의 기간(임금 조정기간)은 금융업종이 평균 4.3년으로 가장 길었습니다. 이어 유통(4.2년), 제약(3.4년), 조선(2.7년), 자동차부품(2.4년) 순이었습니다.
임금피크제에 들어가기 전 최고 임금에 비해 임금이 깎이는 비율을 나타내는 임금 감액률은 금융업종이 연평균 39.6%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제약(21.0%), 유통(19.5%), 자동차부품(17.9%), 조선(16.3%) 순이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