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기업은 '청년 눈높이'를,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을 우선순위로 꼽으며 견해차를 드러냈습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 청년고용 제약요인에 대한 기업과 구직자의 인식 차이가 크다고 하죠?
= 네, 그렇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6일 기업, 학계 및 전문가, 근로자, 청년구직자 등 청년고용과 직·간접적인 연관이 있는 대상으로 시행한 '청년고용 제약요인 인식 실태조사'를 발표했는데요. 그 결과 기업이 바라본 청년고용 제약 요인으로는 청년 눈높이(8.12), 경기침체(7.85), 정년 60세 의무화(7.69), 학력과잉 및 학교교육(7.6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49) 순으로 나타났고, 청년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7.72)을 가장 영향력이 큰 요소로 바라봤으며, 학력과잉 및 학교교육(7.7), 경기침체(7.67),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3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08) 순으로 응답했습니다.

기업이 1위와 3위로 꼽은 청년 눈높이(7.06)와 정년 60세 의무화(6.52)를 청년구직자는 각각 6위와 8위로 꼽았고, 청년구직자가 1위로 꼽은 '기업의 노력 구조'를 기업은 10위(6.19)로 선정했고, 학계 및 전문가는 청년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이 큰 요인으로 산업구조의 변화(7.39)를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경기침체(7.34),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3), 학력과잉 및 학교교육(7.28), 정년 60세 의무화(7.21)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이 선전한 5대 요인과 비교할 때 산업구조 변화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소에서 학계와 기업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는데요. 근로자가 꼽은 청년 일자리 제약 요인은 학력과잉 및 학교교육 문제(7.75)를 1순위로 지적했으며, 청년 눈높이(7.74), 기업의 노력 부족(7.45), 경기침체(7.33),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28) 순으로 응답했습니다.

'기업의 노력 부족 요인'에 대해서는 3위로 기업(10위)과 상당한 시각차를 나타냈으며, 기업이 높은 순위를 부여한 '정년 60세 의무화'(3위) 및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5위)에 대해서는 반대로 9위와 7위의 점수를 부여, 인식차이를 보였습니다. 

 

- 청년고용 상황에 대해 어떻게 예상했습니까?
= 향후 청년고용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주체의 70%가 '장·단기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는데요. 청년 고용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해야 할 핵심주체로는 청년구직자의 60.9%, 근로자 56.1%, 기업 45.2%, 학계 및 전문가 39.2%가 '정부'와 '기업'을 꼽았습니다.

경총은 "정부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정책과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한편 강도 높은 경제활성화 정책을 우선 추진함으로써 기업이 더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또 "노사협력을 통해 기존의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이 청년 구직자를 배려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기업이 인사·임금체계를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개편할 수 있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