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과 출신 대학의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는데, 고소득 일자리를 얻는 것과 별개로 학벌이 좋으면 자존감이 높고 가정생활 등도 좋아 '행복도 성적순'이라는 것입니다.

-. 15일 김영철 상명대 금융경제학과 교수는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 추정」이라는 논문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내놨다죠?

=. 김 교수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7차년도 자료 중 9천997명을 상대로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 등을 설문한 결과를 활용해 출신 대학 수준과 학력에 따라 생활 만족도가 달라지는지 분석했습니다.

학력 수준은 대학별 입학생 평균 대입성적을 추정해 상위권대(10개), 중상위권대(30개), 중위권대(40개), 기타 4년제대, 전문대, 고졸, 중졸 이하로 나눴습니다.

-. 분석 결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전반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요?

=. 네, 유효 응답자 9천948명 중 자신의 생활을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0.2%(3천95명)였으나 상위권대 출신 중에서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54.0%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삶을 만족한다는 응답자 비율도 줄었습니다. 중상위권대는 46.4%, 중위권대는 42.4%, 기타 4년제대는 46.2%를 기록해 상위권대 외 대졸자들은 대체로 비슷했으나 전문대졸, 고졸, 중졸 이하는 각각 35.1%, 28.8%, 23.1%로 떨어졌습니다.

월평균 소득과 종사하는 직업의 지위가 같다고 가정하고 분석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전문대졸의 만족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중졸 이하와 고졸은 만족도가 각 11.9%p와 6.2%p 낮았고, 중상위권대와 상위권대 출신은 각 10.6%p, 15.5%p 높았습니다.

-. 학력 수준은 대학별 입학생 평균 대입성적을 추정해 상위권대(10개), 중상위권대(30개), 중위권대(40개), 기타 4년제대, 전문대, 고졸, 중졸 이하로 나눴다죠?

=. 분석 결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전반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효 응답자 9천948명 중 자신의 생활을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0.2%(3천95명)였으나 상위권대 출신 중에서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54.0%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삶을 만족한다는 응답자 비율도 줄었습니다. 중상위권대는 46.4%, 중위권대는 42.4%, 기타 4년제대는 46.2%를 기록해 상위권대 외 대졸자들은 대체로 비슷했으나 전문대졸, 고졸, 중졸 이하는 각각 35.1%, 28.8%, 23.1%로 떨어졌습니다.

-. 월평균 소득과 종사하는 직업의 지위가 같다고 가정하고 분석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고요?

=. 그렇습니다. 전문대졸의 만족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중졸 이하와 고졸은 만족도가 각 11.9%p와 6.2%p 낮았고, 중상위권대와 상위권대 출신은 각 10.6%p, 15.5%p 높았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