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화학물질 생활용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 아무 제제 없이 판매된 가습기 살균제처럼 위험할지 모른다는 불신이 퍼지면서 화학성분 생활용품 전반의 매출이 감소하는 추세라죠?

=.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이 일반적인 생활용품에 대해서는 막연한 공포심을 갖기보다는 상식적인 범위에서 사용하면 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다만 살충제·살균제 등 살생 성분이 든 제품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파장이 계속되면서 표백제와 제습제, 방향제 등 여러 화학성분 생활용품의 매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요?

=. 반면에 천연원료를 활용한 친환경 제품을 찾는 소비자는 늘고 있습니다. 롯데마트에서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3일까지 표백제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2.6% 감소했습니다. 탈취제와 방향제도 각각 16.8%, 15.0% 매출이 줄었습니다. 섬유유연제(-14.3%), 제습제(-4.6%)도 마찬가지였습니다.

-. 이마트에서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표백제와 제습제 매출이 각각 38%, 44% 급감했다고요?

=. 또한 세탁세제(-19%), 방충제(-7%), 섬유유연제(-15%), 탈취제(-18%), 방향제(-19%) 등도 매출도 줄줄이 줄었습니다.

온라인쇼핑사이트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는데, 옥션에서는 같은 기간 방향제(-8%), 살충제(-5%), 제습제(-7%), 탈취제(-32%) 등의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티몬에서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세제나 방향제 등 화학제품들의 전체 매출이 전월 동기 대비 약 27% 감소했습니다.

-. 가장 많이 감소한 품목은 섬유유연제(-34%)였으며 손세정제와 청소세제는 각각 31% 줄었다면서요?

=. 방향제와 주방세제도 각각 27% 감소했습니다. 반면에 친환경 제품은 매출이 증가세입니다.

베이킹소다가 26% 늘었으며, 순식물성 천연원료로만 제작된 주방·세탁 세제도 매출이 30% 이상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옥시 사태로 인해 화학제품 전반의 구매를 꺼리고 있는데, 당국이 화학제품에 대한 관리 강화에 나섰지만 불안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 조 모(27·여) 씨는 "화학물질을 사용하기보다는 베이킹파우더로 집에서 직접 세제를 만들어서 쓰는 등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며 "아직 아이도 낳지 않았는데 화학물질 사용이 불임이나 난임 등으로 이어지진 않을지 걱정된다"고 우려했다죠?

=.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 당국과 제조업체들이 앞장서 소비자 불신을 가라앉히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화학성분이 함유된 생활용품 사용을 무조건 배제할 수 없는 만큼 합리적인 사용을 유도하는 캠페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가능하면 신체 접촉을 줄이고 자주 환기하는, 최소한의 주의 조치가 절실하다는 것입니다.

-. 환경컨설팅사 EHR&C의 이종현 환경보건안전연구소장은 "의약외품으로 분류된 제품들은 사전 안전성 점검이 된 제품이기 때문에 문제없이 사용해도 된다"며 "다만 살균제와 방충제 등 살생 제품은 아직 사전허가제 도입이 되지 않은 상태여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죠?

=. 그렇습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지나친 공포심을 가지기보다는 소비자 스스로 주의해서 제품 본연의 목적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에어로졸처럼 들이마실 수 있는 등 인체에 쉽게 노출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특히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근본적으로는 유해성 물질 관리와 제품 출시에 대한 더욱 철저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고요?

=. 네, 이종현 소장은 "아직 모든 제품의 안전성이 충분히 점검되고 확인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정부나 기업체가 안전성을 확실하게 검증해 확인되는 과정이 있어야 불신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김용화 성균관대 초빙교수는 "생활 주변에 굉장히 다양한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일일이 위해성을 평가해야 하는 것이 맞다"며 "관련 법이 미비돼 면밀하지 못한 점이 있으므로 원천적으로 정부와 국회가 이 부분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계기로 환경부는 살생 성분이 함유된 제품의 관리체계를 기존의 사후관리 방식에서 사전관리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죠?

=. 그렇습니다. 환경부는 안전성을 입증하지 못하는 살생물 제품을 단계적으로 퇴출시키고 신규 제품은 안정성을 인증받은 후 출시하는 제도 도입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다림질 보조제 등 위험 성분이 함유돼 있지만 법률상 관리를 받지 못하는 품목은 우려제품으로 추가 지정할 계획입니다.

 

▲ 세제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