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기는 불면증 환자가 최근 2년 사이 20%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 3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웹진 건강나래와 국가건강정보포털 등에 따르면 작년 불면증(질병코드 F510<비기질성불면증>, G470<수면개시 및 유지장애>)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50만5천685명으로, 2013년 42만5천77명보다 19.0% 늘었다죠?

=. 불면증 환자는 40대 이상에서 특히 많았습니다. 작년 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세 이상이 27.6%로 가장 많았고, 50대(21.5%), 60대(18.8%) 순이었습니다. 50대 이상 장·노년층이 전체의 67.9%나 됐습니다.

불면증은 잠들기 어렵거나, 자는 도중에 자주 깨거나, 너무 일찍 잠에서 깨어나는 병인데, 며칠 사이에 잠을 잘 못 잤다고 해서 진단이 내려지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1개월 이상 수면에 불편함을 느끼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으면 불면증 진단이 내려집니다.

-. 잠을 자면서 뇌파 검사, 근전도 검사, 심전도 검사 등을 하는 수면다원검사로 진단할 수도 있다고요?

=. 불면증에 시달리면 낮 동안 졸리거나 피로감이 쌓이고 의욕도 떨어져 삶의 질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은 만성질환이 원인으로 작용해 통증, 두통, 호흡곤란 등을 느끼거나 하지 불안 증후군, 사지운동증 등 질병 때문에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잘못된 수면습관이 원인입니다.

-. 잠자는 시간이 불규칙하거나 각성제나 항우울제 등의 약물,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음료 등을 먹으면 발생할 수 있으며 지나친 음주도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다죠?

=. 또 불안한 심리상태도 불면증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가지고 있는 질환이 원인이라면 이를 치료하는 것이 불면증 완화에 필수적인데, 생활습관이 문제라면 '수면 위생 수칙'을 지켜 불면증에서 탈출할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와 대한의학회는 ▲ 낮잠을 피한다 ▲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을 일정하게 한다 ▲ 밤에 일어나더라도 시계를 보지 않는다 ▲ 잠자리에 들기 2시간 전에 더운물로 목욕한다 ▲ 잠자리에 누워 10분 이상 잠들지 않으면 단순작업을 하면서 잠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등의 수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이와 함께 침대를 오로지 잠을 자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죠?

=. 네, 다른 일을 하거나 생각을 하기 위해 침대에 눕는 것은 피하는 것입니다. 또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잠자리에 들기 6시간 전에 운동을 마치는 것이 좋으며 수면을 방해하는 담배, 커피, 홍차, 콜라, 술 등을 피해야 합니다.

수면제는 비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고 불면증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가능한 소량, 단기간에 복용해야 합니다. 수면제 복용을 중단하면 오히려 불면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침대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