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변비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61만6천명이었고, 이중 절반은 어린이와 노인 환자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변비로 진료받은 환자는 2010년 55만3천명에서 2015년 61만6천명으로 5년간 6만2천명(11.3%) 증가했다고요?

=. 남성 환자는 2010년 22만7천명에서 2015년 26만1천명으로 15.1%(3만4천명) 증가했고, 여성 환자는 32만6천명에서 35만4천명으로 8.7%(2만8천명) 늘었습니다.

작년 기준 여성 환자는 남성보다 1.4배 많았습니다. 연령대별 환자는 70대 이상(17만명, 27.6%)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9세 이하(15만9천명, 25.8%), 50대(6만9천명, 11.3%) 순이었습니다.

-. 70대 이상과 9세 이하는 전체 환자의 53.4%(32만9천명)를 차지했다죠?

=. 20∼30대 환자 중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3.9배 많았고, 70대 이상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1.1배 많았습니다.

이와 관련 조용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소아는 성인보다 급성변비가 많고, 노인은 신경계, 대사성 질환, 운동 부족 등이 원인인 이차성 변비가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 조 교수는 젊은 여성 변비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서는 "여성 호르몬이 대장의 운동을 억제한다"며 "임신 중이나 배란일로부터 월경 전까지는 변비가 더 심해질 수 있고, 그 외 운동 부족이나 섬유질 및 수분섭취 부족, 불규칙한 배변 습관, 스트레스 등도 변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죠?

=. 네, 변비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320억원에서 2015년 395억원으로 23.3% 증가했습니다.

입원 진료비는 2010년 14억원에서 2015년 24억원으로 69.5% 증가했고, 외래는 306억원에서 371억원으로 21.2% 더 많아졌습니다. 진료환자의 월별 추이(2015년)를 보면 12월에 8만4천24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10월 8만3천318명, 9월 8만1천203명 순이었습니다.

-. 변비와 관련된 증상은 ▲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 변이 매우 단단하고 배변 시 항문에서 막히는 느낌 ▲ 배변 후 잔변감 ▲ 배변을 위한 인위적 조치가 필요한 상태 ▲ 일주일에 3회 미만의 배변 등이 있다고요?

=. 병원에서는 이들 증상 중 두 가지가 만성적(최근 6개월 중 3개월 이상)으로 되풀이될 경우 변비라고 진단합니다.

변비는 급성변비와 만성변비로 구분되고, 만성변비는 원인 규명이 가능한 이차성과 원인이 분명치 않은 원발성(原發性)으로 분류됩니다. 이차성 변비의 원인으로는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고칼슘혈증 등의 대사성 질환과 파킨슨병, 척수 병변 등의 중추신경계질환 등이 있고, 특정 약물(항경련제, 항히스타민제, 마약성 진통제, 칼슘차단제, 이뇨제, 알루미늄을 함유한 제산제 등)을 복용한 경우나 특정 정신질환을 겪을 때도 변비 생길 수 있습니다.

-.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복용이나 스스로 내장기관을 조절할 수 있게 도와주는 바이오피드백 훈련 등이 있다죠?

=.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 섬유질 섭취 ▲ 하루 1.5∼2리터 수분섭취 ▲ 규칙적인 배변 습관 ▲ 효과적인 배변 자세 유지 ▲ 복근력 강화 등이 필요합니다.

 

▲ 화장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