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가 하루 평균 약 3천명씩 늘어났지만 살아남는 자영업자는 3명 중 1명꼴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2일 국세청이 발간한 '2016 국세통계연보'를 보면 2014년 창업해 2015년 처음으로 부가가치세를 신고한 개인사업자는 106만8천명으로 집계됐다고요?

=. 산술적으로 보면 2014년 하루 평균 3천명이 새롭게 자영업체를 차린 셈인데, 반면 지난해 기준으로 폐업한 개인사업자는 73만9천명이었습니다. 매일 2천명씩 사업을 접은 것입니다.

결국, 자영업에 뛰어든 사람 중 3분의 1만 살아남은 꼴입니다. 신규 개인사업자를 업종별로 보면 14개 대분류 중 서비스업, 부동산·임대업, 소매업, 음식업 등 4가지 업종에 73.5%가 몰려 있었습니다.

-. 세탁소, 이·미용실, 고용알선, 여행사, 교육기관 운영 등을 아우르는 서비스업 자영업자가 20만9천명(19.6%) 신규 등록해 가장 많았다죠?

=. 자신이 소유한 건물·토지 등을 빌려주거나 정수기 등 개인용·산업용 용품을 대여하는 부동산·임대업이 20만5천명(19.2%)으로 그다음이었습니다. 소매업은 17.6%(18만8천명), 음식업은 17.1%(18만2천명)였습니다.

그러나 폐업 자영업자 역시 이들 업종이었습니다. 음식점업 폐업 자영업자가 15만3천명으로, 전체의 20.6%에 달하며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소매업 19.9%(14만7천명), 서비스업 19.7%(14만6천명) 순이었으며, 부동산·임대업은 12.3%(9만1천명)로 4번째였습니다.

-. 자영업자가 늘어나는 것은 은퇴 후 노후 준비가 되지 않은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와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청년들이 창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요?

=. 특히 소매업, 음식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점에 비춰볼 때 특별한 기술이 없고 진입장벽이 낮은 업종 위주로 이들이 몰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경기가 좋지 않은 데다 시장이 과포화된 상태여서 살아남는 자영업자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모양새입니다. 이에 대해 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최근 보고서에서 "경기가 둔화하면 일자리가 부족해 창업으로 내몰리거나 한계상황에 처한 자영업자들이 일자리 부족으로 내몰린 상태에서 자영업이 증가할 수 있다"며 "그런 상황에서는 자영업 증가가 가계부채 악화요인이자 일자리 질에 적신호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 식당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