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가계, 기업 등이 비은행권에서 빌린 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데,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현재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762조2천86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 비은행금융기관에는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생명보험사 등이 들어가고 대부업체는 포함되지 않는다죠?

=. 은행과 구분해 제2금융권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93년 이후 사상 최대치입니다.

작년 말과 비교해 넉 달 사이 37조7천445억원(5.2%) 늘었습니다. 작년 1∼4월 증가액(29조373억원)보다 훨씬 많은 규모입니다. 이런 급증세가 이어질 경우 연간 증가액이 사상 최대인 작년(87조7천581억원)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 올해 여신 증가액을 금융기관별로 살펴보면 자산운용사 잔액이 62조원으로 4개월 동안 25.7%(12조6천893억원) 급증했고 신탁회사가 48조2천325억원으로 8.9%(3조9천399억원) 늘었다면서요?

=. 저축은행도 6.4%(2조7천910억원)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은행권이 '리스크'(위험) 관리를 강화하면서 가계와 기업의 대출 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몰린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올해 은행 대출은 증가세가 주춤합니다. 지난 1∼4월 예금은행의 대출 증가액은 21조701억원 작년 같은 기간(26조911억원)에 비해 축소됐습니다. 문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등 대내외 여건으로 시중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를 보면 지난 4월 예금은행 대출금리는 연 3.42%(신규취급액 기준)라죠?

=. 저축은행(10.77%), 신용협동조합(4.66%), 새마을금고(4.01%), 상호금융(3.93%) 등 제2금융권의 일반대출 금리가 은행보다 훨씬 높습니다.

제2금융권을 많이 이용하는 서민과 중소기업들이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릴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지난달 25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 금통위원은 "취약차주는 고금리·비은행대출 의존도와 단기대출 비중이 높으므로 소득 대비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액이 상당히 높다"고 우려했습니다.

 

▲ 돈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