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북 기조가 이달 말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층 강경해지고 있는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한때 북한과 '조건부 정상회담'까지 거론되기도 했지만, 북한의 계속된 미사일 도발에 이어 북한에 장기간 억류됐던 오토 웜비어가 혼수상태로 송환된지 엿새만에 숨지자 행정부와 의회의 기류도 급속도로 싸늘해졌다면서요?

=. 급기야 미국은 20일(현지시간) 대북 제재의 '키 플레이어'로 꼽아온 중국을 배제하고 독자적인 해법을 모색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북한과의 정상회담도 사실상 시야에서 배제했습니다.

안 그래도 악화일로를 걷던 북미 관계와 아슬아슬하게 '오월동주'를 이어오던 미·중 관계에 웜비어의 사망이 악재로 작용한 모양새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 지도부의 노력을 평가하면서도 "그런 노력은 제대로 통하지 않았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 이는 미·중 외교안보대화를 하루 앞두고 대(對)중국 압박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워싱턴 정가와 외교가 일각에선 중국 없이 독자 제재에 나설 수도 있다는 '경고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온다죠?

=.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중국이 북한 문제를 풀지 않으면 미국이 직접 해결하겠다고 공언해 왔습니다.

백악관도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의 정상회담 가능성이 더욱 희박해졌다는 견해를 공식으로 밝혔습니다. 숀 스파이서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을 만날 의사가 여전히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분명히 더 멀리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미 정부는 또 웜비어 사망을 계기로 대북 경제 제재와 정치적 압박 수위를 더욱 끌어올리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고요?

=. 이와 함께 미 정부와 의회가 일제히 자국민의 북한 여행금지 조처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나선 점도 심상치 않습니다.

이 같은 미국의 강경 기류는 북한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다룰 한미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의 이날 고강도 대북·대중 경고 발언은 문재인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 CBS 인터뷰에서 적극적인 대북대화 의지를 드러낸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대조를 보였습니다. 향후 한미 간의 대북정책 조율이 생각만큼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입니다.

-. 문 대통령은 앞서 이날 오전 방영된 CBS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국제 사회가 유엔 안보리의 결의에 따라 해왔던 제재와 압박만으로는 북핵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저는 금년 중으로 그런 대화를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죠?

=. 네, 우리 정부의 대미 외교 라인은 현재 변화의 조짐을 보이는 미국 측의 실제 기류를 파악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