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이 기록적으로 증가했으나 숙박 및 음식점업은 생산성이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 6일 한국생산성본부(KPC)에 따르면 2017년 한국의 전산업 시간당 노동생산성지수(부가가치 기준)는 104.1을 기록해 전년보다 3.2% 높아졌다면서요?

=. 특히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지수는 108.3으로 1년 사이에 5.8% 상승했습니다. 제조업 노동생산성 지수 증가율은 2010년 7.2%를 기록한 후 작년이 최근 7년 사이에 가장 높았습니다.

제조업 내에서 업종을 세분하면 의료·정밀·광학기기(23.1%)와 기타운송장비(19.8%),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12.0%), 기계·장비(12.0%), 섬유·의복·액세서리·모피(7.1%), 1차 금속(6.1%) 등에서 노동생산성 향상이 두드러졌습니다.

-. 한국생산성본부는 전반적으로 노동투입(근로자 수×근로시간)은 줄고 부가가치가 증가하면서 제조업의 생산성이 향상한 것을 분석했다죠?

=. 전년과 비교한 제조업의 부가가치 증가율은 2016년 2.4%였는데 2017년 4.4%로 2.0% 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반면 노동투입은 2016년에 0.03% 줄었고 2017년에는 그 감소율이 1.4%로 확대했습니다.

특히 의료·정밀·광학기기의 경우 노동투입은 변하지 않았으나 부가가치가 증가해 노동생산성이 높아졌습니다. 기타운송장비의 경우 부가가치(-8.2%)가 감소했지만, 조선업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노동투입(-23.4%)이 더 큰 비율로 줄면서 노동생산성이 상승하는 효과를 냈습니다. 또한 작년에 주택 경기가 호황을 보인 가운데 건설업의 노동생산성 지수는 7.2% 상승해 110.8을 기록했으며, 상승률은 2009년 8.6%를 기록한 후 8년 만에 최대였습니다.

-.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지수는 101.9로 1.7% 상승하는 데 그쳤다면서요?

=. 숙박 및 음식점업은 노동생산성이 2016년보다 3.9% 하락했습니다. 노동투입은 1.8% 늘었으나 부가가치는 2.2%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금융 및 보험업의 노동생산성이 8.4% 증가해 서비스업 전반의 생산성 하락을 간신히 막은 셈입니다. 노동생산성지수는 '농업, 임업 및 어업'과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을 제외하고 산정하며, 작년에 제조업이나 전산업 노동생산성이 기록적으로 향상됐음에도 이를 생산 시스템 혁신의 성과로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 제조업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