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중점 국정추진과제 추진 본격화

[국토일보/이지폴]

수출효자 선봉장 기대-환경업계 고무적 반응

´연구개발-국내시장 확대-해외진출 가속´ 3박자 전략


이명박 정부의 신성장 동력 발굴 정책 중에서도 눈에 띄는 정책이 있다.

환경산업을 신 성장 동력으로 집중 육성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환경시장을 ´경제살리기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약의 기회´로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역력하다.

이에 대해 환경전문가들은 "그동안 건설과 개발의 논리의 뒷전으로 밀려 좀처럼 주목받지 못한 국내 환경산업이 경제 성장의 선봉에 나서는 의미있는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미 선진국들은 기후 변화 등 환경위기 극복의 대명제 하에 최첨단 환경기술개발에 앞장서 환경무역장벽을 세우는 동시에 세계 환경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제연구소에서 추정하는 향후 2015년의 전 세계 환경시장규모는 1,100조원이다.

이는 바이오산업 218조, 반도체산업 482조에 비하면 엄청난 수준으로 세계 경제의 주도권이 환경산업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셈이다.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이번 이명박 정부에서는 환경산업 육성정책이 한층 가속을 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환경부 주요 수장을 비롯해 청와대 환경비서관 등 정책 결정선에 있는 인사들이 대기업 또는 환경전문기업에서 실질적인 경영과 기술개발 등의 실무를 충분히 익혔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론과 경험이 조화를 이룬 정책 탄생이 기대되며 정책 확산 효과는 곧 경제성장의 한 축으로 가시화 된다는 기대감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환경부가 최근 수립한 ´환경산업 수출 전략산업화´ 전략을 보면 크게 3가지로 짜여졌다.


최첨단 환경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 후 국내 환경시장의 안정화를 꾀하고, 곧 이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서는 메커니즘을 채택했다.

우선 글로벌 환경규제 선도 및 고성장이 예상되는 미래 유망환경기술 연구개발 집중투자 및 산업화에 대한 지원이다.

선진국보다 늦게 시작한 만큼 선택과 집중을 통해 이를 극복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시장성 및 성공 가능성이 높은 전략기술을 발굴해 사업단 형태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민관 연구개발 투자 및 기술개발 산업화 촉진을 위해 민관펀드 조성, 시중은행 금리 감면 등 환경시장에 가뭄의 단비나 다름없는 금융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둘째로는 탄탄한 내수기반 조성을 통한 환경산업체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방침이다.

그동안 대기업과 중소환경산업체가 ´골리앗과 다윗´처럼 힘겨운 경쟁을 벌이다 보니 환경산업을 키우기 위한 컨센선스의 형성이 부족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는 대기업과 환경벤처기업이 상생할 수 있도록 환경시설공사에 특화된 입찰제도를 마련키로 했다.

특히 국내 환경내수시장의 확충에도 신경을 많이 썼다.

사전 예고적 환경정책, 규제선진화 로드맵 제시, 공공부문 사업 영역의 민간부문 이양 등을 통해 침체된 국내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을 예정이다.

더욱이 환경산업육성자금을 조성해 중소 환경산업체의 설비투자 및 경영안정, 구조조정, 해외진출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별로 환경산업 특화단지도 조성해 환경전문업체, 연구소 등을 한곳에 모이게 함으로써 연구개발 및 해외진출 시너지 효과 창출도 도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갖춘 환경플랜트 분야의 해외진출을 집중 지원해 수출효자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기존 대기업과 환경벤처기업이 서로 등을 맞댄 라이벌이었지만, 이제부터는 서로가 양손을 잡고 하나의 목표를 향해 가는 가이드라인을 정해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기술기반 환경벤처기업과 대기업의 자본과 마케팅 능력을 기반으로 한 ´선단식 해외진출 시스템´ 구축을 자연스럽게 유도키로 했다.


관련업체들이 최단 시간에 성공적으로 해외진출을 할 수 있도록 ´원스톱서비스´를 구축, 가동할 계획이다.


해외진출전략 컨설팅, 수출협상 및 계획, 금융지원(환경분야 ODA확대) 등을 한 곳에서 해결 할 수 있는 ´환경산업.기술진흥원´을 설립,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 류연기 환경산업과장은 "환경산업의 수출 전략화가 이명박 정부의 중점 국정과제로 채택 진행되는 만큼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역별, 차별화 된 해외진출 방안이 전개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중국, 베트남 등을 최우선 공략지로 채택해 첨단 환경기술, 플랜트, 정책시스템 등을 민관.패키지형 프로젝트 수주 형태로 진출한다는 복안이다.


차기 공략지로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 안착과 함께 신규시장으로 구소련과 인도 등도 진출해 수출 극대화를 모색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환경부는 이번 정책이 순항을 보인다면 당장 2009년 국내 환경기술이 해외 환경시장에서 약 2조원 가량을 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05년 환경산업 수출규모 9,900억원의 두배 수준이다.


환경업계에서도 ´환경산업 수출 전략 산업화´에 대해 크게 고무돼 있는 분위기로 모처럼 환경산업 전성시대를 점치고 있다.


정일호 한국환경벤처신기술협회장은 "정부가 수립한 관련업체의 신기술 개발 및 자금지원, 국내시장 확대, 해외시장진출 정책 강화 등이 제대로만 실행된다면 환경산업이 국가의 신성장 동력엔진으로 조기에 정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어떤 업종보다도 환경시장은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정책의 실용성을 강조하는 이명박 정부의 환경산업 육성전략이 수출효자 노릇을 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국토일보(www.cdaily.kr) 선병규 기자 redsun@cdaily.kr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