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들은 팀제와 전문기자제·대기자제·서구형 뉴스룸 등을 중심으로 조직 및 취재 시스템의 변화를 시도했지만 대부분 미완에 그치고 있다. 관행의 벽이 너무 높은 탓이다.

각사가 도입하려했던 팀제는 특정주제와 이슈가 갖는 다차원성으로 출입처를 커버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더구나 기자의 성과측정이 매우 어렵다는 점과 연공서열의 위계적 관계, 부서주의, 인력부족 등에 가로막혀 오히려 소집단주의를 더욱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기자제 역시 팀제와 마찬가지다. 외부인사 영입시 전문성을 제고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신문사 내부조직의 배타성과 전문기자 자신의 미흡한 기사 작성법, 출입영역의 마찰 등으로 사실상 자리만 차지하는 고립된 존재로 전락하기 십상이다.

신문사들은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서구형 뉴스생산 체계를 구축하려는 시도를 거듭하고 있지만 역시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에디터제(editor system). 중앙일보가 에디터제를 도입했다가 원래 체계로 복귀한 데 이어 조선일보도 에디터제 도입을 추진하다 유보했다. 종합일간지 중 국민일보만이 유일하게 에디터제를 중심으로 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시행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신문사들은 거꾸로 저널리즘의 복원이 아니라 수익 다각화 사업 위주로 부분적인 조직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수익창출 위주 내지 인원정리의 차원에서 조직개편이지 실질적인 취재 편집의 효율성 독자 서비스 차원의 조직개편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신문사 경영진이 현재 저널리즘의 위기를 기업으로서 신문기업의 재정위기로 치부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조사 대상자들은 신문사들이 높은 관행을 뛰어넘지 못하고 있으나 조직 및 취재 시스템의 변화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보았다. 구조적 틀을 개편하지 않고 연공서열 파괴와 구조조정 등의 부분적 조치는 오히려 내부갈등만 조장하고 기존의 문제점을 키우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기존의 위계적이고 수직적이 편집국 구조를 횡적인 수평적 구조로 변화시키고 취재 및 편집의 독립성과 공정성이 담보되어야만 독자의 신뢰를 얻을 것으로 지적했다.

결국 저널리즘의 회복이 신문위기 탈출의 비상구라는 점을 재확인 해준 것이다.

김경호 기자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