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7·8월, 6개월 미만근로자, 전기공사시 주로 발생"

 【뉴스캔】장마, 집중호우, 폭염으로 기상변화가 심한 여름철, 산업현장의 감전재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 이사장 노민기)은 23일 “지난해 발생한 산업현장 감전재해를 분석한 결과 감전재해로 인한 사망자 52명 중 28명(54%)이 여름철인 7,8월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며 “일터에서 감전으로 사망한 근로자중 절반 이상이 7월과 8월에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근속기간 6개월 미만 근로자의 감전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감전 사망 근로자의 55.8%(29명)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내용별로는 전기공사(17명), 건축공사 등(11명), 이동기기작업(8명)시 감전재해 사망자가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단은 “여름철은 높은 습도로 인해 전기기기의 누전 우려가 높고 땀에 의해 인체저항이 감소해 다른 계절보다도 감전재해 발생가능성이 높으며, 더위로 인한 집중력 저하도 감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밝혔다. 




한편, 감전재해는 재해발생시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다른 재해에 비해 높은 것으로도 조사됐다.




공단이 2008년 업무상 사고로 인한 사망자 1,448명에 대하여 재해발생 형태별로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감전으로 인한 사망률은 11.6%로 추락(3.3%), 감김이나 끼임(0.68%), 넘어짐(0.53%)보다 적게는 4배에서 많게는 22배까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감전재해 사망률(2007년 기준)은 근로자 백만명당 사망자 수를 주요선진국과 비교해 보았을때 우리나라는 5.67명으로 미국(1.44명), 영국(0.68명), 일본(0.27명)에 비해 4배에서 21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노동부와 공단에서는 여름철 산업현장 감전재해예방을 위한 3대 안전수칙을 발표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감전재해예방 3대 안전수칙은 첫째, 접지실시 둘째, 누전차단기 설치 셋째, 전기작업시 전원 차단이다.                         




모든 전기기기의 철제 외함(외부 전기공급함)에는 접지를 실시하고, 이동형 전기기기에는 누전차단기 설치, 전기기기 수리 및 보수의 경우에는 반드시 전원 차단 후 작업을 할 것을 강조한다.




이밖에도 노동부는 “감전재해로 인한 호흡정지시 1분이내에 인공호흡 등의 응급조치를 실시할 경우 소생률이 95%까지 가능하며, 응급조치 시간이 늦어질수록 소생률이 낮아진다”고 밝혔다.




공단은 “여름철 감전재해예방 3대 안전수칙 발표와 함께 산업현장을 방문하여 감전재해예방 요령등을 집중 교육하고,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는 심사를 거쳐 누전차단기 등 감전재해예방 기기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류보혁 공단 안전시스템연구실장은 “여름철 사망률이 높은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3대 안전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근원적인 전기안전의 확보를 위해서는 자격이 있는 사람이 전기공사를 설계, 시공,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