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농협,하나은행등 3개“사고은행”의 부실대출관행

KT 자회사인 KT ENS 의 대출사기극에 연루된 은행들 그 스스로가 이미 사고를 잉태했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 이번 대출사기극에서 조연 역할한 하나.농협, 국민 은행 3곳은 하나같이 “사고은행‘으로 손꼽혀 왔었다.
이들 은행의 여신심사와 관리시스템에 구멍이 뚫여 있었다는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판단이다.
먼저 KT ENS 에 1,624억원을 빌려줘,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하나은행의 경우를 짚어보자.
하나은행은 금융권에서 대출사기에 유독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형편이다.
가장 최근 사례로 지난해 노숙인등 저소득자 명의로 금융기관에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12억원을 받아 챙긴 일당이 경찰에 붙잡힌 사건도 하나은행이 얽혀있다.
이 당시 하나은행은 현장실사없이 서류심사로 만 대출금을 내줬다.
이번 사건도 이 같은 관행이 연장선상에서 해석할 수있다.
안일한 여신 심사 체계가 사고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하나은행이 이번 사기와 관련된 한 특수목적회사(SPC)D에 대한 대출 만기를 1년 연장하기 위해 작성한 여신 심사보고서를 보면 이 같은 관행이 그대로 드러난다.
이 보고서는 KT ENS에 납품하는 3개업체(중앙티앤씨, 엔에스쏘울, 아이지일렉콤)가 매출채권을 유동화 하기위해 세운 SPC 세븐스타에 대한 대출 600억원의 만기를 1년 연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보고서는“KT ENS 는 KT 계열의 외무감사 대기업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채무가 늘고 있다”며 “그러나, KT와의 높은 사업 연관성을 바탕으로 사업기반이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하나은행은 이 보고서를 근거로 세븐스타에 대출 600억원의 만기를 1년 연장했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은행마다 여신심사프로세스가 다르기 때문에 특정은행이 대출사기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말은 결국 하나은행의 허술한 여신심사과정의 허술함을 꼬집은 것으로 풀이된다.
농협은행은 카드 정보유출사고가 충격파가 가시기도 전에 또 다른 큰 사건에 휘말리게 됐다.
농협은행은 KT ENS의 남품업체인 엔에스쏘울에 500억원규모의 대출약정을 해주고, 실제로 296억원을 빌려줬다.
더 문제는 농협은행이 자산유동화대출(ABL) 의 대출 주관사의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국민은행이 대출주관사인 농협은행이 채권위조여부를 감별한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농협은행은 “모든 대출 취급절차가 정상적이었다”며 “KT ENS에 대출 상황을 요구할 예정이며, 만약 이행하지 않은 경우 소송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농협은행이 저지를 실수를 감추기 위한 으름장에 지나지 않는 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소매금융 위주라 이미지가 더 없이 중요한 국민은행은 신뢰도가 가파르게 추락하고 있는 형국이다.
국민은행은 이번 대출사기극에서 296억원을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하나은행이 1624억원,농협은행 이같은 296억원을 대출한 데 비하면 많지는 않은 수준이다.
하지만 ,정착 더 문제는 딴 데 있다는 것이다.
최근 잇달아 국민은행에서 금융사고가 발생해 오던 와중에 또 다시 사고가 터졌자는 점이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잇따라 도교지점 비자금 사건과 국민주택기금 채권위조,횡령사건 등의 굵직한 사건이 잇따라 일어났다.
이 때문에 다른 시중은행에 비해 충성도가 높은 우량고객이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민은행으로서는 이번 사건으로 브랜드 가치를 크게 잃을 것으로 우려된다
오정근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위원회은“대출과 관련된 이들 3개은행 내부의 사전 심사와 사후 모니터링 기능이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 ⓒ 안상석기자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