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도 1호선에서 출수한 대나무 소반 보존처리 성과 공개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태안 ‘마도 1호선’ 수중 발굴조사에서 출수된 대나무 소반(小盤) 2점에 대한 보존처리를 완료하고 그 성과를 공개한다. 이 대나무 소반은 처음으로 발견된 고려 시대의 대나무 공예품이다.

▲ 대나무 소반(보존처리 전)


▲ 대나무 소반(보존처리 후)


‘마도 1호선’은 지난 2009년 태안 해역에서 발굴된 고선박으로, 고려 시대 전남 지역의 수령현(遂寧縣, 현 장흥), 죽산현(竹山縣, 현 해남), 회진현(會津縣, 현 나주) 등지에서 거둔 곡물(벼, 밀, 조, 피)과 생활용품을 개경으로 운반하다가 난파된 배이다. 마도 1호선은 같이 발견된 목간(木簡, 글을 적은 나뭇조각)과 죽찰(竹札, 글을 적은 대나무조각)을 통해 고려 희종 4년(1208) 침몰한 배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배에서는 대나무 소반 9점, 대나무 바구니, 대나무빗 등 다양한 대나무 공예품이 발견되었고, 이 중 대나무 소반 2점의 보존처리가 이번에 완료되었다.

이번에 보존처리된 대나무 소반은 수중에 매몰되면서 손상되고, 미생물에 의해 목질이 썩어 취약한 상태였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보존처리팀은 국내외에서 연구 사례가 거의 없는 수침(水浸, 물을 함유한) 대나무의 특성과 보존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를 2년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성 PEG(Polyethylene glycol)에 함침(含浸) 후 진공동결건조법으로 보존처리하는 것이 수침 대나무의 형태유지 효과가 높았고, 유물의 색상 변화가 가장 적었다. 따라서 보존처리팀은 PEG를 40%(1점)와 70%(1점)까지 유물에 침투시켜 안정화한 후 진공동결건조법을 적용하여 2012년 5월부터 올해 9월까지 보존처리하였다. 보존처리가 완료된 대나무 소반의 크기는 가로 34.5cm, 세로 26.8cm, 잔존 높이 10.3cm(추정 높이: 12cm)이다.

소반(小盤)은 다과, 차, 술을 먹기 위해 식기를 받치는 작은 상으로, 지금까지 고려 시대 대나무로 만들어진 것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마도 1호선의 운행구간으로 보아 이 대나무 소반은 전남 지역에서 자생하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번 대나무 소반의 보존처리를 통해 고려 시대 대나무 소반의 원형을 제시함으로써, 소반 등 고려 시대 공예품 연구의 귀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수중 발굴조사뿐만 아니라 유물의 안전한 보존처리와 연구에 최선을 다해왔다. 특히, 수침 대나무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널리 인정받아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목재보존학회로부터 지난 2012년 젊은과학자상(Ron Cockcroft Award)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 대나무 소반 보존처리는 해양출수 유물의 특성 연구와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고려시대 난파선(마도 1․2․3호선)에서 출수된 죽찰, 대나무 바구니 등의 보존처리를 연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