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국방과학연구소·경찰청 등에서 관심 표명

컴퓨터 네트워크에 침투해 정보를 빼내거나 프로그램을 망가뜨리는 해커들의 활동을 기록하고 이를 보존하는 ´컴퓨터 블랙박스´가 재미 한국인 과학자의 손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조정이 기자

-. 어떤 내용인지 들려주시죠.

=네. 서울대 공대 졸업 후 LG전자를 거쳐 조지아 공과대학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에서 후학을 지도한 김종만(48) 전 교수는 19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 주 조지아 공대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제품 ´서버 블랙박스´를 발표했습니다.

-. 개발 동기는 무엇인가요.

=2년 반 전 국내 대기업과 IT 관련 얘기를 나누다가 보안 문제가 대세라는 점을 파악한 김 전 교수는, 제품 개발을 위해 ´소테리아 시스템´을 창업하고 올여름 잠시 학교를 떠났습니다. 그후 모든 비행 기록을 담는 항공기 블랙박스에서 착안해 ´서버 블랙박스´를 만들었습니다.

-. 전에는 이런 제품이 없었나요.

=김 전 교수에 의하면 "그간 해커의 흔적을 찾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많이 나왔지만 그 권한을 누군가가 탈취하면 큰 쓸모가 없었다.“ 며 ”하드웨어에 장착해 해커 활동을 기록하는 모듈 형식의 제품은 ´서버 블랙박스´가 세계 최초"라고 말했습니다.

-. 비용은 어떠했나요.

=약 2년 반 동안 사재와 지원금을 합쳐 100만 달러를 투자해 연구했습니다.

-. 특징은 무엇이 있죠.

=항공기 블랙박스와 비슷하게 해커뿐만 아니라 회사의 내부 최고 책임자라도 모든 정보를 지울 수 없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입니다.

-.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요.

=김 전 교수는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조직화하는 추세에서 해커들이 교묘하게 시스템에 침입해 침투 흔적을 지우고 빠져나가는 일이 다반사"라며 "그러다 보니 언제, 어떻게 해킹을 당했는지 모르는 일도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서버 블랙박스´를 컴퓨터에 장착하고 제품과 더불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깔면 사용자는 해커의 침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그 밖의 다른 특징이 있나요.

=네. 김 전 교수는 "사이버 범죄 재판에서 그간 해커의 침입과 활동 경로는 문서에 작성된 글자로만 확인됐으나 해커의 모든 기록이 담긴 ´서버 블랙박스´를 사용하면 이를 영상으로 시연할 수 있다"며 증거 보존 가치도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 각계의 반응이 궁금합니다.

=그는 내년 초 발표될 미국 특허청의 특허 허가를 기다리고 있으며, 우리나라 합동참모본부와 국방과학연구소, 경찰청 사이버 대응반 등에서 이 제품에 관심을 표명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 제품이 해커의 주요 공격 대상인 은행과 공공기관 컴퓨터 및 정보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는 점 덕분에 병원 의료기록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소테리아 시스템은 기대했습니다.

-. 개발에 참여한 분이 또 계시다고요.

=네. 김 전 교수와 함께 ´서버 블랙박스´를 개발한 샌안토니오 텍사스대학 전자공학과의 이정희(38) 교수는 "보안과 관련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는 사실에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 시장 규모는 어떠한가요.

소테리아 시스템은 사적인 회선을 사용하는 기관을 위해 개발한 ´서버 블랙박스´의 전 세계 시장 규모를 8천500만 달러(약 941억 원), 일반 소비자를 겨냥해 이날 함께 발표한 웹 기반의 해커 침입 방지 시스템인 ´스텔스 실드´의 규모를 2억 달러(2천213억 원)로 전망했습니다.

-. 네. 조정이 기자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