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업에 다닌 여성이 공공기관에 다닌 여성보다 임신이나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경험한 비율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취업여성의 출산행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원이 지난해 6세 미만의 자녀를 둔 25∼39세 여성 1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고합니다.

이번 조사는 경력단절 후 재취업에 성공한 여성을 포함해 현재 취업 상태인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현재 취업하고 있지 않은 여성을 포함하면 경력단절 경험률을 훨씬 늘어날 것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경력단절 당시 다니던 직장 유형별로 보면 민간기업에 다니던 여성의 경력단절 비율이 24.7%로, 공공기관 종사여성의 7.8%보다 3배 이상 높았습니다.

또 임시·일용직(42.9%)이 상용직(17.5%)보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비율이 훨씬 높았고. 직업별로는 서비스·판매직(34.1%),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4.4%), 사무직(18.2%), 관리자(13.3%) 순으로 경력이 단절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이유로는 '양육과 직장을 동시에 수행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42.6%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자녀를 맡길 마땅한 시설이 부족'(23.0%) 하거나 '직장 해고, 인사상 불이익, 직장 눈치 등 직장 내 분위기로 비자발적으로 퇴사'(21.0%)했다는 응답도 많았습니다.

문제는 민간기업에 다니는 여성들은 공공기관 여성들보다 다양한 일·가정 양립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도 적다는 것입니다. 출산 전후 휴가 이용 가능성은 공공기관이 69.9%, 민간기업이 58.2%였으며, 육아휴직도 공공기관 여성 중에는 68.9%가 이용할 수 있는 반면 민간기업 종사자 중엔 52.3%만이 이용할 수 있는 실정입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