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귀농·귀촌 증가추세가 지속될 경우 2033년 이후에도 농촌인구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 요즘 같은 증가 추세가 계속되면 앞으로도 농촌인구가 유지될 것이라고 하죠?

= 네. 농촌경제연구원이 10일 발표한 '귀농·귀촌 증가추세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의 귀농·귀촌 추세가 이어질 경우 농촌인구는 2013년 930만명에서 2033년에는 811만~950만명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는 총 4만4682가구로 2010년(4067가구)보다 10배 이상 증가했는데요. 2014년 귀농가구는 1만1240가구로 1998년 IMF 외환위기 때의 6409가구보다 5000여가구나 더 많았습니다.

농경연은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농촌인구가 950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2023년 960만명까지 늘어 정점을 기록했다가 그 후 완만히 줄겠지만 연평균 0.11%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2033년에도 2013년보다 많은 950만명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농경연은 중립적 시나리오로는 2018년까지 농촌인구가 늘었다가 그 후 연평균 0.01% 감소해 2033년에는 현재와 비슷한 929만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했고, 가장 비관적인 시나리오에 따르면 연평균 0.68%씩 감소하면서 2033년에는 811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고 합니다.

 

- 고령화로 인구가 감소 할 수도 있다고요?

= 네, 그렇습니다. 보고서의 낙관적인 시나리오에도 불구하고 인구구조가 고령화되면 농촌인구 감소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지적했는데요. 고령인구가 압도적 비율을 차지함에 따라 농촌인구가 사회적 증가보다 자연감소의 영향을 받게 되는 시점이 되면 20~30년 후에는 농촌인구가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농경연은 2013년 기준 20.1%인 농촌의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년후 33.9~36.0%에 이르고 40년후에는 47.3~51.7%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