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가 더 탄탄한 방역망을 구축하기 위해 내부에 '공격조'를 꾸려 취약점을 찾아내는 '레드팀(Red Team)'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 군사용어인 레드팀은 본래 팀인 '블루팀(Blue Team)'의 계획을 무산시키거나 공격하는 팀을 뜻한다죠?

=. 기존 체계에 문제가 없는지 '아군'을 공격을 해서 보완점을 찾아내는 방식인데, 레드팀은 조직의 잘못에 대한 축소, 구성원의 자발적인 침묵 등으로 인한 이른바 '집단 실패'에서 벗어나기 위해 기업체에서는 자주 도입되곤 하지만 정부조직에서 시도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 질본 관계자는 28일 "감염병 발생 상황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예측하고 방역망에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기 위해 '레드팀' 개념을 도입했다"며 "조직의 입장이 아닌 국민의 입장에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죠?

=. 질본은 특정 이슈가 발생하면 해당 업무 담당자가 아닌 내부 직원으로 별도의 팀을 꾸려 방역망의 문제점을 공격하는 방식으로 레드팀을 운영합니다.

레드팀 운영의 첫번째 사례는 지난달 13일 발생한 메르스 의심환자의 '무단이탈' 사건입니다. 아랍에미리트(UAE) 국적의 여성 M(22)씨는 의심환자로 분류됐지만 병원을 이탈해 방역망에 공백이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됐었습니다. 이 여성은 결국 메르스에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이 났습니다.

-. 질본은 보건소, 의료기관 등을 점검해 당시 방역망에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보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처음으로 레드팀을 가동했다고요?

=. 그렇습니다. 레드팀을 꾸려 일반 국민, 언론, 당사자인 M씨의 입장에서 방역망의 문제점을 지적했고 기존의 방역라인은 '블루팀'이 돼서 공격을 방어했습니다.

아울러 질본 관계자는 "방역망에 느슨한 연결고리가 있다면 이를 보완해 더 촘촘한 방역망을 만들기 위해 레드팀을 만들어 현재의 방역망을 점검하게 한 것"이라며 "레드팀의 공격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방역 지침이나 내부 매뉴얼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질병관리본부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