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실시한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에서 상당수 대학병원이 1등급에 탈락하면서 중환자실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습니다.

-. 하지만, 이번 1등급 선정 기준조차도 외국과 비교하면 약한 만큼 관련 기준을 더욱 높여야 사망률 개선에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고요?

=. 그렇습니다. 앞서 심평원은 평가 기준에 따라 1등급(11곳), 2등급(64곳), 3등급(52곳), 4등급(90곳), 5등급(46곳) 의료기관을 최종 선정했습니다.

특히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중환자실 관리가 이번 적정성 평가를 계기로 재조명받게 된 의미가 있지만, 중증환자를 돌보는 최후의 보루라고 할 수 있는 중환자실 시스템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려면 평가 기준을 더욱 까다롭게 지정해야 한다"고 22일 밝혔습니다.

-. 이번 평가지표에서 가중치가 가장 높았던 항목(25%)은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 였으며, 병상 수 대 간호사 숫자(20%)가 그 뒤를 이었다죠?

=.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10%), 진료 프로토콜 구비율(5%), 48시간 이내 중환자실 재입실률(10%), 기타(30%) 등 다른 항목과 비교했을 때 '인력'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두었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습니다.

-. 문제는 인력 관련 평가 분야에서 외국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후한 점수를 받을 수 있었다'는 점이라죠?

=. 중환자의학회에 따르면 미국은 의사 1인당 담당 중환자실 병상 수를 14병상이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고, 유럽은 6~8병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임채만 중환자의학회 이사장은 "전담전문의 1인당 중환자실 병상 수가 30병상인 의료기관도 이번 평가에서 상당히 높은 점수를 배분받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죠?

=. 네, 임 이사장은 "중환자실 환자의 생존율은 '전문인력 확보'에 좌지우지된다"며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의사 1명이 평균적으로 중환자실 44.7병상을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1등급 평가를 받은 의료기관은 서울(7곳), 경기(1곳), 경상(3곳)에 몰려있었는데, 지역별 의료기관의 중환자실 운영 수준 차이가 확인된 것입니다.

-. 서지영 중환자의학회 부회장은 "외국과 비교해 평가수준이 높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해 252곳이 2등급 이하였다는 사실에서 우리나라 중환자실의 열악한 수준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고요?

=. 그렇습니다. 서 부회장은 "대다수 의료기관이 수준 높은 중환자실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부 당국에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 한편, 일각에서는 1등급부터 5등급까지 모든 의료기관 명칭이 공개되면서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 가속화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죠?

=. 네, 서울 소재 대학병원 교수는 "이미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가 등급이 높은 다른 의료기관으로 이송해달라고 요구하는 사례는 별로 없겠지만, 신규 환자와 보호자가 입원 시 중환자실 평가 기준도 일정 부분 고려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병원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