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을 갚을 능력이 매우 취약한 이른바 '고위험 가구'가 30만 가구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앞으로 금리가 오르면 고위험 가구가 급증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 한국은행은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계부채가 부실해질 수 있는 '위험가구'가 작년 3월 말 기준으로 126만3천가구라고 밝혔다면서요?

=. 위험가구는 전체 부채가구의 11.6%를 차지합니다. 이들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186조7천억원(총 금융부채의 21.1%)나 됩니다.

위험가구 중 고위험가구는 31만5천가구(부채가구의 2.9%)이고 고위험가구의 부채는 62조원(총금융부채의 7.0%)으로 집계됐습니다. 고위험가구는 원리금(원금과 이자)의 상환 부담이 크면서 자산을 팔아도 부채를 상환할 능력이 취약한 가구로 정의됐습니다. 처분가능소득으로 원금과 이자를 갚을 능력을 나타내는 DSR[155660](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40%를 넘고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가구입니다.

-. 문제는 앞으로 금리 상승으로 절박한 상황인 고위험 가구가 늘어날 공산이 크다는 점이라죠?

=. 네, 맞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15일(한국시간) 정책금리를 연 1.0∼1.25%로 올리면서 상단이 한국은행 기준금리(연 1.25%)와 같은 수준이 됐습니다.

최근 한은도 자본유출 우려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고 금융시장에서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 기준금리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 최근 대출금리 산정의 바탕이 되는 코픽스도 들썩이고 있다고요?

=.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금리가 오르면 부채가 많은 가구는 작지 않은 충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은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대출금리가 0.5% 포인트(p), 1%p 오를 경우 고위험가구가 각각 8천명, 2만5천명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시나리오에서 고위험가구 금융부채는 각각 4조7천억원, 9조2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또 대출금리가 1.5%p 오르면 고위험가구는 6만명(19.0%) 증가하고 이들의 금융부채는 14조6천억원 불어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 이에 대해 보고서는 "앞으로 대출금리가 소폭 상승하는 경우에는 가계의 채무상환능력 저하 정도가 제한적으로 평가된다"면서도 "금리가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면 고위험가구의 수와 부채가 큰 폭으로 늘면서 가계부채의 취약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죠?

=. 네, 더구나 가계의 실질소득이 정체된 가운데 부채는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3월 말 가계부채는 1천359조7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11.1% 늘었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3.3%로 전년 동기대비 8.6%p 올랐습니다.

특히 6·25전쟁 직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가 가계부채의 위험군으로 꼽힙니다.

-. 보고서는 "평균 부채 규모가 큰 베이비붐 세대가 '적극 차입' 계층의 상당수를 차지하면서 가계부채 증가를 견인하고 있다"고 우려했다고요?

=. 그렇습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 규모를 보면 베이비붐 세대가 5천800만원으로 나머지 가구의 평균(4천400만원)보다 약 32%나 많습니다.

50세 이상 베이붐 세대가 식당 등 자영업에 진출하고 임대주택 투자를 많이 하면서 빚이 늘고 있으며, 특히 보고서는 "정부와 감독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더해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취급유인을 약화하거나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대출을 중점관리하는 등 가계부채 급증세를 억제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돈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