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30대를 기점으로 비만율 ↓ vs 여성, 나이 들수록 비만율 ↑

뚱뚱해지는 대한민국 비만인구가 늘고 있다.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인원은 총 1,454만여 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BMI 측정 결과에 따른 비만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의 35.6%인 518만여 명이 비만인구로 나왔다(비만 444만+고도비만 74만). 인구 100명 중 36명이 비만 상태였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비만인구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4년의 경우, 전체 수검인원 중 33.4%가 비만인구였다. 2015년에 34.8%로 증가했고, 올해 역시 비만인구 증가는 지속되고 있었다.
비만인구가 늘어나면서 정상 체중에 속하는 사람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2014년, 전체 수검인원의 38.5%가 정상 체중으로 100명 중 39명이 정상범위에 속했지만, 2015년에는 37.5%, 2016년에는 36.8%로 점점 줄어드는 상태다(표1 참조).

남성, 30대를 정점으로 비만율 ↓ vs 여성, 나이 들수록 비만율 ↑

가장 비만도가 높은 연령대는 60대다. 전체 인구의 39%가 비만인 것으로 나온다. 전체 연령별 비만도를 보면 19세 이하는 24.6%, 20대 24.8%, 30대 37.2%, 40대 35.8%, 50대 36.2%, 60대 39%, 70대 이상 36.1%로 나타난다. 하지만 좀 더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남녀 간의 미묘한 차이가 발생한다(표4 참조).

표1 2014~2016년 BMI 측정에 따른 비만도 현황

구분

저체중

(18.5미만)

정상

(18.5~22.9)

과체중

(23~24.9)

비만 이상

수검인원

연도별

성별

비만

(25~29.9)

고도비만

(30이상)

소계

2014

전체 계

490,968

(3.7)

5,057,840

(38.5)

3,187,006

(24.3)

3,819,877

(29.1)

568,651

(4.3)

4,388,528

(33.4)

13,124,342

남자 계

145,188

(2)

2,244,878

(31.5)

1,916,936

(26.9)

2,479,408

(34.8)

339,509

(4.8)

2,818,917

(39.6)

7,125,919

여자 계

345,780

(5.8)

2,812,962

(46.9)

1,270,070

(21.2)

1,340,469

(22.3)

229,142

(3.8)

1,569,611

(26.2)

5,998,423

2015

전체 계

499,033

(3.6)

5,260,838

(37.5)

3,387,097

(24.2)

4,204,670

(30)

669,220

(4.8)

4,873,890

(34.8)

14,020,858

남자 계

143,402

(1.9)

2,263,598

(30)

2,016,331

(26.7)

2,727,304

(36.1)

402,430

(5.3)

3,129,734

(41.4)

7,553,065

여자 계

355,631

(5.5)

2,997,240

(46.3)

1,370,766

(21.2)

1,477,366

(22.8)

266,790

(4.1)

1,744,156

(27)

6,467,793

2016

전체 계

511,361

(3.5)

5,354,585

(36.8)

3,491,970

(24)

4,435,828

(30.5)

742,153

(5.1)

5,177,981

(35.6)

14,535,897

남자 계

144,029

(1.9)

2,258,909

(29.1)

2,061,093

(26.5)

2,862,225

(36.8)

445,052

(5.7)

3,307,277

(42.6)

7,771,308

여자 계

367,332

(5.4)

3,095,676

(45.8)

1,430,877

(21.2)

1,573,603

(23.3)

297,101

(4.4)

1,870,704

(27.7)

6,764,589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 자료

 

남성의 경우 성인이 되기 전인 19세 미만 중 비만인구는 28.5%에 불과하다. 하지만, 20대에 들어서면서 36.7%로 늘어난다. 8.2%나 증가한 것이다. 30대에는 47.2%로 크게 증가해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후에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 40대 46.2%, 50대 42.2%, 60대 39.3%, 70대 이상의 연령대에선 32.1%로 20대보다 나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반면, 여성들은 남성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여성들의 비만율은 19세 이하에서는 19.1%였다. 20대에 들어서는 12.9%로 확 줄어든다. 이후 30대에는 17.1%, 40대 23.5%, 50대 30%, 60대 38.7%, 70대 이상 39.4%로 나이가 들수록 비만해지고, 남성 비만율을 역전하는 현상까지 보인다. 임신과 출산, 육아에 따른 부담과 생활 환경 변화가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표4 참조).

여성과 남성의 이런 차이점으로 인해 연령대별 비만율은 6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말라서 고민인 20대 여성, 100명 중 16명은 저체중

누구는 살쪄서 고민이지만, 말라서 고민인 경우도 있다.

표준체중 미만인 저체중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 여성이다.

2016년 기준, 전체 여성인원 중 저체중 비율은 5.4%다. 연령대로 보면 10대와 20대, 30대의 저체중 비율이 평균보다 높다. 특히 20대가 심각하다.

20대 여성은 100명 중 16명(15.8%) 정도가 저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세 이하 연령대는 12.7%, 30대는 10.8%가 저체중으로 나왔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저체중 비율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20대 여성의 저체중 비율은 2014년 17.5%에서 2015년 16.3%, 2016년 15.8%로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표2 참조).

비만이 질병의 근원인 것처럼 저체중도 가볍게 다룰 수 없다. 일부에서는 비만보다 더 위험하다고도 한다. 특히 외모지상주의와 마른 몸을 지향하는 사회 트렌드가 젊은 여성들의 저체중을 촉발하는 상황은 더욱 우려되고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표2 2014~2016 10~30대 여성 중 표준체중 미달 현황(%)

구분

19세 이하

20-29세

30-39세

2014

14.1

17.5

11.6

2015

13.1

16.3

11.1

2016

12.7

15.8

10.8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자료

중년 남성의 고민 비만,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30대~50대 중년 남성의 고민은 ‘살’이다.

과도한 업무와 음주, 스트레스로 인한 비만은 피할 수 없다.

30대 남성 중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비만이다. 2016년 기준 47.2%가 비만인 것으로 나왔다. 40대는 46.2%가 비만이었다. 50대는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그래도 42.2%가 비만이다. 더 심각한 점은 비만율이 점점 늘어난다는 점이다.

전 연령대에서 비만인구가 가장 높은 30대의 경우 2014년에는 43.4%에서 2016년에는 47.2%로 늘었다. 40대는 2014년 42.8%에서 46.2%로 50대는 39.6%에서 42.2%로 조금씩 그러나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표3 참조).

표3 2014~2016 30~40대 남성 중 비만인구 현황(%)

구분

30-39세

40-49세

50-59세

2014

43.4

42.8

39.6

2015

45.7

45

41.3

2016

47.2

46.2

42.2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자료

몸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지만, 관리는 부실한 대한민국

“비만은 고혈압, 흡연, 고혈당, 육체적 비활동과 함께 5대 사망위험 요인 중 하나다(WHO).”

비만을 관리하면 다양한 질병의 위험을 상당 수준까지 줄일 수 있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우리 사회는 몸에 대한 관리가 이뤄지기가 너무 어려운 환경이다. 때문에 의지와 달리 부실한 관리로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 건강보험 제도가 도입된 해가 1977년이다. 벌써 40년이 지났다. 전 세계 어느 나라 부럽지 않은 질병치료 시스템을 갖췄지만, 여전히 미흡하다. 해마다 60조원 이상의 의료비가 지출되고 있고 그 중 20조원 이상은 국민들 호주머니 속에서 나와야 한다. 문재인 케어가 계획되고 실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다. 건강보험은 질병 발생 이후 사후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지, 사전 예방에는 소홀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국민들의 질병예방, 아니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과 실행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

비만 예방(적정한 체중 관리)은 그 중에서 가장 빠른 길이다. 선진 의료 시스템을 구축한 국가들이 햄버거와 나트륨을 규제하거나, 공공체육시설과 여가시설을 적극적으로 조성하여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국민이 건강하면 의료비가 줄어들고, 그만큼 국가 부담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물론 국가 정책의 궁극적 목표인 국민들의 건강한 삶이 보장되는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정부와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할 문제다.<끝>

표4 2016년 기준 BMI 측정에 따른 연령대별 비만도 현황

구분

성별

저체중

(18.5미만)

정상

(18.5~22.9)

과체중

(23~24.9)

비만 이상

수검인원

비만

(25~29.9)

고도비만

(30이상)

소계

19세 이하

3,043

(11)

13,697

(49.5)

4,154

(15)

4,791

(17.3)

2,010

(7.3)

6,801

(24.6)

27,695

1,578

(9.8)

7,451

(46.1)

2,529

(15.6)

3,221

(19.9)

1,382

(8.6)

4,603

(28.5)

16,161

1,465

(12.7)

6,246

(54.2)

1,625

(14.1)

1,570

(13.6)

628

(5.4)

2,198

(19.1)

11,534

20-29세

124,752

(9.4)

644,846

(48.8)

225,121

(17)

251,517

(19)

75,798

(5.7)

327,315

(24.8)

1,322,034

20,185

(3.1)

243,910

(37)

153,660

(23.3)

188,986

(28.7)

52,781

(8)

241,767

(36.7)

659,522

104,567

(15.8)

400,936

(60.5)

71,461

(10.8)

62,531

(9.4)

23,017

(3.5)

85,548

(12.9)

662,512

30-39세

113,030

(4.6)

907,557

(37.3)

506,377

(20.8)

721,281

(29.7)

183,029

(7.5)

904,310

(37.2)

2,431,274

25,651

(1.6)

435,251

(26.8)

396,041

(24.4)

617,350

(38)

148,404

(9.1)

765,754

(47.2)

1,622,697

87,379

(10.8)

472,306

(58.4)

110,336

(13.6)

103,931

(12.9)

34,625

(4.3)

138,556

(17.1)

808,577

40-49세

109,975

(3)

1,396,144

(38)

849,603

(23.2)

1,112,823

(30.3)

200,840

(5.5)

1,313,663

(35.8)

3,669,385

27,148

(1.4)

522,162

(26.3)

519,893

(26.1)

790,318

(39.7)

129,195

(6.5)

919,513

(46.2)

1,988,716

82,827

(4.9)

873,982

(52)

329,710

(19.6)

322,505

(19.2)

71,645

(4.3)

394,150

(23.5)

1,680,669

50-59세

67,536

(1.9)

1,222,816

(35.1)

931,208

(26.8)

1,121,027

(32.2)

137,910

(4)

1,258,937

(36.2)

3,480,497

25,079

(1.4)

494,863

(28)

502,993

(28.4)

677,644

(38.3)

67,884

(3.8)

745,528

(42.2)

1,768,463

42,457

(2.5)

727,953

(42.5)

428,215

(25)

443,383

(25.9)

70,026

(4.1)

513,409

(30)

1,712,034

60-69세

41,175

(1.8)

700,681

(31.4)

619,878

(27.8)

780,139

(34.9)

91,747

(4.1)

871,886

(39)

2,233,620

20,241

(1.8)

329,136

(30)

315,560

(28.8)

398,469

(36.4)

32,663

(3)

431,132

(39.3)

1,096,069

20,934

(1.8)

371,545

(32.7)

304,318

(26.8)

381,670

(33.6)

59,084

(5.2)

440,754

(38.7)

1,137,551

70세이상

51,850

(3.8)

468,844

(34.2)

355,629

(25.9)

444,250

(32.4)

50,819

(3.7)

495,069

(36.1)

1,371,392

24,147

(3.9)

226,136

(36.5)

170,417

(27.5)

186,237

(30.1)

12,743

(2.1)

198,980

(32.1)

619,680

27,703

(3.7)

242,708

(32.3)

185,212

(24.6)

258,013

(34.3)

38,076

(5.1)

296,089

(39.4)

751,712

총합계

전체 계

511,361

(3.5)

5,354,585

(36.8)

3,491,970

(24)

4,435,828

(30.5)

742,153

(5.1)

5,177,981

(35.6)

14,535,897

남자 계

144,029

(1.9)

2,258,909

(29.1)

2,061,093

(26.5)

2,862,225

(36.8)

445,052

(5.7)

3,307,277

(42.6)

7,771,308

여자 계

367,332

(5.4)

3,095,676

(45.8)

1,430,877

(21.2)

1,573,603

(23.3)

297,101

(4.4)

1,870,704

(27.7)

6,764,589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자료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