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기준금리가 10년 만에 2%대에 들어서면서 국내 대출금리도 줄줄이 오르고 있는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특히 미국이 연내 두 차례 더 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어 국내 대출금리 상승세는 점차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고요?

=. 소득·일자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에 이자 부담까지 가중될 경우 가계 부실화의 도화선이 될 수 있어 주의가 요망됩니다.

지난 16일 은행연합회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잔액 기준은 연 1.83%, 신규취급액 기준은 연 1.82%로 공시했습니다. 전달보다 각각 0.03%포인트 오른 것이며, 잔액 기준은 9개월 연속 상승세입니다.

-.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수신상품의 금리를 가중평균한 값으로, 변동대출 상품 금리의 기준이 된다죠?

=. 코픽스가 오르면서 은행들의 변동대출 금리도 함께 오르게 됐습니다. KB국민은행은 잔액 기준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연 3.49∼4.69%에서 오는 18일 연 3.52∼4.72%로 0.03%포인트 올린다고 예고했습니다. 신규취급액도 연 3.33∼4.53%에서 연 3.36∼4.56%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다른 은행들 역시 코픽스 금리가 오른 만큼 주담대 금리를 올립니다. 문제는 이 같은 대출금리 상승이 올해 내내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점입니다.

-.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장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가 오르는 구조라면서요?

=. 한국은행이 당장 금리를 올리지 않는다고 해도 미국 금리 상승이 글로벌 금리 상승 → 한국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대출금리를 끌어 올립니다. 실제로 미국이 2017년부터 금리를 5번(1.5%포인트) 올리는 동안 한은은 1번(0.25%포인트) 올리는 데 그쳤지만, 코픽스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2016년 9월 저점(연 1.31%)을 기록한 이후 현재 연 1.82%까지 뛰었습니다.

은행 주택담보대출 가이드금리(5년 고정, 이후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AAA등급 5년물' 금리도 지난해 초 연 2% 내외에서 최근엔 연 2.6∼2.8%대로 올라섰습니다. 이 때문에 은행 주택담보대출 가이드금리도 최고금리 기준으로 작년 초에는 연 4% 내외였지만 최근에는 연 5%를 넘나들고 있습니다.

-. 은행권에서는 지금 같은 상황이면 올해 안에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5%를 넘어서고, 고정금리형 대출도 한은 기준금리 인상 정도에 따라 최고 연 6%에 육박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요?

=. 이처럼 금리가 오르면 당연히 가계 이자 부담이 늘어납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올라가면 가계의 이자 부담은 2조3천억원 가량 증가합니다.

가계에서도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곳은 취약계층입니다. 지금도 이자 갚기가 어려운데 금리가 오르면 이자 상환 부담이 더 커지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의 1분기 가계대출 연체율이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6.7%로 작년 말보다 0.6%포인트 뛰었고, 상호금융의 신용대출 연체율도 1.65%로 0.27%포인트 올랐다죠?

=. 이와 관련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득이 줄어든 가운데 대출금리가 오르면서 취약계층이 받은 대출부터 서서히 부실화되고 현상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돈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