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대표 "재외동포 아는 사람이 청장 되어야"
"경북도민수와 동일한 재외동포들, 예산지원은 17분의 1 수준"

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대표 [사진=박선영 기자]
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대표 [사진=박선영 기자]

[뉴스캔=박선영 기자]  750만 재외동포들의 오랜 숙원이었던 재외동포청이 공식 출범한다. 여러 정부를 거치면서 청 설립에 대한 움직임은 있었지만 정치적인 이해관계에 얽히면서 실제 출범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재외동포청에 대한 정부조직법 공포안이 발효됐고 이제 6월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다. 

이런 재외동포청의 탄생을 누구보다 손꼽아 기다리는 인물이 있다. 재외동포들의 권익을 위해 활동 중인 워싱턴한인회장 출신의 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대표다.   

김영근 대표는 5일 <뉴스캔>과의 인터뷰에서 “외교부 산하에 설립될 재외동포청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재외동포청 만큼은 재외동포 사회를 잘 아는 전문가들 중에서 청장으로 임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산도 재외동포 숫자에 걸맞게 늘려야 성공적으로 출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1981년 미국 워싱턴DC로 이민을 간 이후 2003년 워싱턴한인회장을 지냈으며 2005년부터는 세계한인회장대회 의장을 3년간 맡기도 했다.   


"재외동포청 예산, 동포 숫자에 맞게 현실화해야"


“지난 20여년 동안 출범하는 정권마다 재외동포청의 설립을 공약사항으로 내세웠지요. 하지만 매번 정치적 현실의 벽을 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윤석열 정부는 마침내 역사적인 정부조직법 공포안에 서명했습니다.”

김 대표는 750만 재외동포의 염원이 담긴 재외동포청이 성공적인 출범을 하기위해선 재외동포들이 직면한 각종 현안을 해결하는 ‘봉사조직’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는 “동포 사회의 발전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이것을 재외동포들과 함께 실행하는 공동주체로서 자리매김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며 “문제는 그에 걸맞는 재외동포청의 권한과 예산 확충이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지난 2월27일 국회에서 재외동포청 신설 법안이 통과됐고 오는 6월5일 청 설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과연 초대 재외동포청장이 누가되느냐에 대해서도 세간의 관심이 쏠린다. 김 대표는 초대 청장이 가질 덕목으로, 정치적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동포들을 국민의 한 사람 한 사람으로 인식하는 태도가 제일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어떤 이력의 소유자가 인선되느냐에 따라 재외동포들의 뜻을 한데 모으느냐 아니면 갈등만 더 키우느냐가 좌지우지됩니다. 재외동포 사회는 그 자체만으로 소중합니다. 따라서 재외동포들을 정치적 이해득실에 따른 표가 아닌 대한민국의 소중한 국민으로 생각하고 그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사람이 동포청장을 맡아야 합니다.”

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대표 [사진=박선영 기자]

김 대표는 재외동포청의 예산확보도 청 운영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꼬집었다. 

실제 세계한인네트워크에 따르면 750만 재외동포 가운데 한국국적을 소지한 재외국민은 269만명으로. 그간 동포재단 예산은 약 630억원에 불과하다. 특히 현재 재외동포수를 보면 경상북도 인구와 비슷한데 경북은 총 예산이 11조원에 이르고 복지 예산도 2조원에 이르지만 재외동포 예산은 600억원대 초반에 머물러 있다는 게 세계한인네트워크 측 주장이다.  


"차세대 재외동포에도 관심을... 동포사회 미래의 전부"


“재외동포청은 미래 지향적인 조직으로 탄생해야 합니다.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재외동포청’ 설립의 필요성을 주장할 때면 주된 내용으로 재외동포 관련 행정과 민원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들었는데 이것이 전부여서는 절대 안됩니다.”

김 대표는 재외동포청의 주 업무가 전 세계 190여개국에 산재해 있는 재외동포들이 각자의 거주국에서 주류사회의 일원으로 안정된 삶을 영유해 갈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차세대 재외동포에 대한 관심을 재외동포청이 가져야 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120년 역사의 재외동포사회에서 차세대 재외동포는 750만 동포사회 미래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들이 앞으로 동포사회의 주축을 담당할 수 있도록 민족 정체성 교육과 전통 문화 계승 등 건강한 한인사회의 일원으로서 필요한 정책지원이 필요할 때입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