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도와 만족도가 높은 반면 우울감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행복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으며 여성보다 남성이, 비가구주보다 가구주가 느끼는 행복감이 작았습니다. 보건사회연구원 김미곤 사회보장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3일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에 실은 '한국인의 가구유형별 개인특성별 주관적 행복수준' 보고서에서 작년 7~8월 19~75세 3천65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행복도, 만족도, 우울도에 대해 10점 척도로 대답했는데요. 그 결과 행복도는 중졸 이하와 고졸 이하에서 각각 5.58점, 6.17점으로 대학재학이상 6.56점보다 낮았습니다.

삶의 만족도 역시 대학재학 이상이 6.82점으로 고졸이하(6.42점), 중졸이하(5.72점)보다 높았는데, 반면 우울도는 중졸이하(3.63점), 고졸이하(3.21점), 대학재학 이상(2.98점) 순으로 높았습니다.

행복도는 여성이 6.34점으로 남성 6.06점보다 높았으며 20대 이하 6.53점, 30대 6.58점, 40대 6.36점, 50대 6.16점, 60대 5.78점, 70대 이상 5.59점 등으로 20대를 제외하고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습니다.

또 행복도는 종교가 있거나 신앙심이 강할수록 높았습니다. 종교가 없는 응답자들의 행복도는 6.10점이었으며 종교가 있으나 신앙심이 약한 응답자, 종교가 있고 신앙심이 강한 응답자의 행복도는 각각 6.15점과 6.46점이었습니다.

아울러 행복도는 한 가구를 대표하는 가구주(세대주)인지 여부나 일자리의 안정성 등 경제적인 상황에 따라서도 크게 좌우됐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