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 이차전지 소재 및 폐배터리 트레이딩 사업 전개 활발

정부가 이차전지, 반도체, 바이오 등 3대 신(新)산업 분야에 대한 국가적 지원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력 기업들도 이러한 흐름에 적극 보조를 맞추며 새 먹거리 창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정부는 용인·평택, 구미, 포항, 청주 등 7개 지역을 허브 삼아 대규모 국가첨단전략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데 막대한 재정을 쏟고 있다. 아울러 국가산업형 특화단지 입주를 희망하는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에 대해 국가보조금, 각종 금융·세금 혜택, 인재양성 프로그램 등을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다. 이에 삼성, LG, SK, 현대 등 국내 대기업들도 유망 사업군에 대한 투자를 늘리며 국가 산업 활성화 프로젝트에 적극 동참하는 모습이다. 유니콘 기업이 되길 희망하는 스타트업들도 정부의 미래산업 육성 기조에 적극 부응해 독자적 기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이에 <뉴스캔>은 현 정부의 신산업 육성 면면과 국내 주요 기업들의 체질변화 흐름을 짚어 본다. <편집자 주>

 [일러스트=이하나 기자]
 [일러스트=이하나 기자]

[뉴스캔=박진용 기자] 윤석열 정부가 전통적 수출 품목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며 무역 자립을 실현하기 위해 미래 3대 신사업군으로 지목되는 이차전지, 반도체, 바이오 산업 활성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수출 확대와 흑자 무역수지 패턴을 정착시키기 위해 이같은 산업 활성화 정책에 골몰해 왔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수익구조상 경쟁력이 점차 희석되고 있는 기성 품목 중심의 수출은 결국 경쟁력이라는 점에서 바닥을 드러낼 수밖에 없으며, 미래형 산업에서 초격차 고유 기술을 확보해야 글로벌 무역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이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개최된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우리나라의 미래 수출 방향성과 수출 활성화 지원을 위한 구체적 방안 등을 논의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 1~8월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4093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2.4% 감소했다. 지난 11개월 동안 수출이 꾸준히 감소했는데,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IT 부품과 석유제품 등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무엇보다 반도체·IT 강국인 한국의 반도체 및 무선통신 무역이 전년 대비 각각 34.9%,15.6%씩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미국과 더불어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과 아세안 국가 등지에서도 수출이 20% 수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무역수지 개선 필요성을 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자동차, 이차전지, 선박의 해외 수출 증가세와 글로벌 에너지 시세 하락 등으로 지난 6~8월에는 무역수지가 흑자를 기록했다고 정부는 분석했다. 그러나 한국의 효자 무역품목이었던 반도체가 미-중 무역전쟁 등의 여파로 부침을 겪고 있다는 점은 윤석열 정부에게 또 다른 알짜 교역 품목을 개발해야 한다는 숙원과제를 던져줬다.


◆ 정의선 현대車 지배구조 개편의 핵심, 현대글로비스 '이차전지' 사업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이 물류 계열사인 현대글로비스를 중심으로 신사업을 전개하며 지배구조 개편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의중이 담긴 행보라는 분석이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 회장이 이차전지 등 주요 신사업을 도맡고 있는 현대글로비스를 앞세워 그룹 지배구조 개편을 시도할 것이란 관측이 파다하다. 현대글로비스는 정 회장이 거대 지분을 보유한 물류 계열사인 만큼, 기업가치 상승 여부가 정 회장의 그룹 재편 구상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현대글로비스는 현재 이차전지 원자재 사업 본격화를 위한 준비 수순에 돌입했다. 전기차 배터리 운송뿐만 아니라 리튬,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핵심소재 매입·판매에 이르는 광범위한 사업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차전지 사업을 이끌 인재 채용에도 적극적이다. 신사업 인력 풀을 조기에 확보해 배터리 소재 및 광물 공급망을 확보하는 한편, 기존 현대차의 EV(전기차) 사업과도 연동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차그룹에 정통한 업계 한 관계자는 <뉴스캔>과의 통화에서 "현대차가 최근 배터리셀 법인 확장에 적극적"이라며 "그에 앞서 이차전지 핵심 원자재 수급이 절실한 만큼, 현대글로비스라는 트레이딩(무역) 포스트를 적극 활용해 배터리 광물 매입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현대글로비스는 최근 전기차 폐배터리를 수거해 에너지저장시스템(ESS)으로 재활용하는 신사업을 전개 중이다. [이미지=피엠그로우 제공]
현대글로비스는 최근 전기차 폐배터리를 수거해 에너지저장시스템(ESS)으로 재활용하는 신사업을 전개 중이다. [이미지=피엠그로우 제공]

현대글로비스는 이와 함께 이차전지 파생형 신사업군으로 지목되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도 개시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가 지난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TF(태스크 포스)를 구성한 가운데, 현대글로비스를 해당 사업의 핵심 전초기지로 지목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무역과 물류가 근간인 현대글로비스를 중심으로 폐배터리를 확보해 거대 '배터리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게 현대차그룹의 청사진이다.

중고차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현대글로비스가 글로벌 폐차 시장에서 회수한 폐배터리는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등에 재활용될 전망이다. 아울러 상태가 양호한 폐배터리는 현대모비스가 수리·재가공해 차량 등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글로비스는 연내 폐배터리 전처리 기업 인수를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처리 전문업체와 인수 가능성을 타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전처리 공정에 전문성을 보유한 엔지니어 확보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는 게 업계 후문이다. 

이처럼 현대글로비스는 물류 역량을 토대로 이차전지 및 폐배터리 등 신사업 다각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이차전지는 촉망받는 미래형 산업군으로 분류되는 만큼, 이로써 기업가치 상승을 견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 주식시장에선 운송·물류 분야와 달리 LG에너지솔루션, SK온, 포스코퓨처엠 등 이차전지 사업주들의 주가수익비율(PER)이 최대 60배 이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의 신사업 포트폴리오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지난 2021년부터 친환경 브랜드인 '에코(ECOH)'를 띄우며 청정 암모니아와 수소를 제조, 운반하는 사업에도 도전장을 낸 바 있다. 여기에 물류 자동화 사업인 '스마트물류솔루션'도 병행 중이다.   

이런 가운데 이 회사의 최근 광폭 행보는 정의선 회장의 그룹 지배 구상의 일환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현대차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임에도 여전히 순환출자라는 난제를 풀지 못했다. 이에 지배구조 개편이 절실한 정 회장이 현대글로비스의 몸집을 불리며 순환출자 고리를 끊어내려는 시도에 나섰다는 것이 업계 중평이다. 

이러한 정 회장의 '염원'이 담긴 만큼, 최근 현대글로비스의 주가도 상승가도를 타고 있다. 이 회사의 주가는 9월 27일 종가 기준 18만4000원으로, 지난 3월 15만 원대였던 주가가 20% 수준 올랐다. 이에 금융가에선 현대차그룹이 현대글로비스를 주축으로 지배구조 개편에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이 쏟아지고 있다.  

정 회장은 그룹 계열사 중 가장 높은 지분율(20%)을 보유한 현대글로비스를 통해 경영권 승계를 노릴 수밖에 없다. 그에 앞서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 등의 순으로 이어지는 그룹 내 순환출자 구조를 해소하는 것이 급선무다. 특히 정 회장이 순환출자 구조의 핵심인 현대모비스의 지분을 확보하려면 현대글로비스의 신사업 성패가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결국 현대글로비스의 주가 상승이 곧 (정 회장의) 안정적인 경영권 승계로 이어지는 레드카펫이 될 수 있다"면서 "현대글로비스의 몸집이 커지면 정 회장이 현대모비스의 주식을 매입할 재원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영권 승계에서 우위를 점하게 된다"고 관측했다.

정부가 이차전지, 반도체, 바이오 등 3대 신산업 분야에 대한 국가적 지원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력 기업들도 이러한 흐름에 적극 보조를 맞추며 새 먹거리 창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사진=프리픽 제공]
정부가 이차전지, 반도체, 바이오 등 3대 신산업 분야에 대한 국가적 지원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력 기업들도 이러한 흐름에 적극 보조를 맞추며 새 먹거리 창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사진=프리픽 제공]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