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산업개발, 기업회생 신청 '법정관리'...미분양 등 현금 확보 못해
PF시장 '돈맥경화'에 건설사들 폐업, 부도 잇따라...리스크 장기화 관측
상반기 폐업 건설사만 248곳...투자심리 위축에 건설수주 악화 겹악재

서울 강동구 둔촌 주공아파트 시공 현장. [사진=둔촌주공 시공사업단 제공]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시공 현장. [사진=둔촌주공 시공사업단 제공]

[뉴스캔=박진용 기자] 최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동산 시장의 급속 침체로 건설사들의 자금줄이 끊기면서 건설업계 위기론이 고조되고 있다. PF 시장은 대출 잔금 및 연체율 증가로 인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놓였고, 기업회생 절차를 밟는 건설사들도 생겨났다.

20일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2분기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총 133조1000억 원으로 전기 대비 1조5000억 원가량 늘었다. 최근 4년간 PF 대출잔액 현황을 살펴봐도 시장 흐름이 좋지 않다. 2020년 하반기 92조5000억 원이었던 PF 대출잔액은 2021년 112조9000억 원, 2022년 130조3000억 원, 2023년(1분기) 131조6000억 원 등으로 꾸준한 증가세에 있다.

PF 대출 연체율도 2%를 웃돌며 업계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6월 기준 PF 연체율은 2.17%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2020년 0.55%였던 연체율이 4년 만에 4배가량 뛴 것. 이는 금융계와 건설업계의 자금 유동성 경색을 시사하는 만큼, PF 시장이 극심한 침체기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올 2분기 PF 대출 연체율이 증가한 것은 맞지만 상승추세가 꺾이며 긍융계 전반으로 리스크가 확산하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을 내놨다. 다만 일선 건설업계의 시각은 이와 다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뉴스캔>과의 통화에서 "부동산 PF시장과 건설사들의 재정이 동반 하락세에 접어들었다고 봐야 한다"라며 "시장 악재에 건설사들이 하나같이 자금줄이 끊긴 데다, 한국주택토지공사(LH) 부실공사 논란까지 겹치면서 향후 2~3년은 부침이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 대우산업개발 법정관리에 건설업계 줄도산 공포


부동산 PF시장이 '돈맥경화'를 겪는 가운데, 대우산업개발이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자 업계 줄도산 리스크가 증폭하는 모양새다. [이미지=대우산업개발 제공]
부동산 PF시장이 '돈맥경화'를 겪는 가운데, 대우산업개발이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자 업계 줄도산 리스크가 증폭하는 모양새다. [이미지=대우산업개발 제공]

PF시장의 자금줄이 막히면서 국내 건설업계의 위기감도 증폭되고 있다. 이안(iaan) 아파트를 브랜드 간판으로 내세우고 있는 대우산업개발이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법정관리에 들어간 것이 그 신호탄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우산업개발은 아파트 미분양 등으로 현금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끝내 회생 절차를 밟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7일 대우산업개발에 대한 회생절차를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대우산업개발이 앞서 지난달 2일 회생을 신청한 데 따른 것이다. 대우산업개발은 총자산 2930억 원에 부채가 2308억 원으로, 공사매출·대여금 채권 부실화와 회수 실패 등으로 현재 자본잠식 상태다. 여기에 PF 차입 지급보증금 4300억 원에 부실시공 우발채무 630억 원까지 더해지면 부채 규모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전망이다.

문제는 대우산업개발 뿐만 아니라 앞서 대우조선해양건설, 에이치엔아이엔씨, 대창기업, 신일그룹 등 타 건설사들도 회생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PF시장 위축에 따른 리스크가 업계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올 상반기 폐업한 건설사는 총 248곳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대로라면 올해 건설사 폐업 사례는 500건을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을 중심으로 올 하반기 건설업계가 더욱 극심한 자금난에 시달릴 것이란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업계 우려를 드높이는 요소다. 

한국신용평가가 최근 공개한 '건설산업 2023년 상반기 정기평가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업계의 부동산 PF 리스크가 잦아들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금융계의 투자심리와 건설수주가 동반 위축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면서다. 

한국신용평가는 보고서를 통해 "건설사들의 PF 보증 규모는 분양 경기 저하에 따른 기존 우발채무 해소 지연과 추가적인 신용보강 제공 등으로 올해 들어서도 쉽게 줄어들지 못하고 있다"며 "여기에 PF 보증 중에서 상대적으로 위험 수준이 높은 미착공 사업장에 대한 금액이 여전히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점도 잠재적 불안 요소"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신규 현장의 사업성 저하, 금융시장의 투자심리 악화 등으로 인해 건설사들의 PF위험이 실질적으로 축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최근 늘어나고 있는 건설사들의 책임준공 의무 관련 부담도 주요 모니터링 요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