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에 대한 높은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폐업하는 어린이집이 늘고 있어 학부모와 교사의 피해가 늘어날 전망이다. [그래픽=박선영 기자]
어린이집에 대한 높은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폐업하는 어린이집이 늘고 있어 학부모와 교사의 피해가 늘어날 전망이다. [그래픽=박선영 기자]

[뉴스캔=박선영 기자] 어린이집의 폐업수가 많아지는 것은,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 

출산율이 낮아 영유아수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지만 정작 어린이집 수요는 증가하고 있고 이용 만족도까지 높아 어린이집의 폐업은 맞벌이 부부들에겐 더욱 뼈아프프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28일 발표한  '2022년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린이집 이용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평균 4.08점으로 나타났다.

2020년 3.72점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한 수치다. 물론 코로나19로 인해 어린이집 이용이 원활하지 못했던 영향이 컸다. 하지만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에도 어린이집의 평균 만족도 점수가 4.06점으로 꽤 높았다.  

◆ 어린이집 만족도 '수'... 교사 만족도 가장 높아

이번 조사는 영유아보육법 제9조에 근거해 3년 마다 실시되는 법정조사인 보육실태조사가 실시되지 않는 해에 진행되는 것으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 자녀를 둔 10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에 응답한 가구의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 1000명은 영아가 34.3%, 유아가 65.7%를 차지했고 조사 가구의 어머니 취업 현황은 취업 중인 경우가 52.4%, 미취업은 37.7%, 휴직 중이 8.8%로 나타났다. 

항복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교사(4.23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안전관리(4.12점) ▲교육내용(4.11점) ▲원장(4.10점) ▲내부분위기(4.10점) ▲급식관리(4.07점) 순이다. 이 외 실내․외환경 등 항목별 만족도가 모두 평균 4.0점 이상으로 조사됐다.

시설유형별로는 직장어린이집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3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법인·단체 등 어린이집 4.28점, 가정어린이집 4.17점,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 4.14점, 국공립어린이집 4.11점, 민간어린이집 3.98점 순으로 나타났다. 

[그래픽=공유마당]
[그래픽=공유마당]

이처럼 높은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집은 수요흐름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폐업을 선택한 원장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어린이집 수는 3만923개로, 2018년 말의 3만9171개보다 8248개(21.1%) 줄었다. 특히 0∼1세 영아 돌봄 수요를 주로 담당해온 가정어린이집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 줄 이은 폐업... 학부모, 영유아서 교사까지 '도미노 피해'

무엇보다 주변 어린이집의 '도미노 폐업' 현상이 가장 심각하다.  

보건복지부의 이번 조사결과에서도 어린이집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집과의 접근성(43.9%)이 꼽혔다.

결국 잦은 폐원으로 인해 우리 아이들이 점점 집에서 멀리 떨어진 어린이집으로 옮겨가게 되고, 대형 어린이집 외에 소형 어린이집은 갈수록 살 길을 잃게 되는 구조를 만들고 있는 셈이다. 

현실적으로 어린이집은 맞벌이 부부들을 대신해 교육해주고 아이들을 보호한다는 것에만 목적이 있지 않다. 아동발달을 위한 목적이 꽤 크다.

실제 보건복지부의 지난해 어린이집 이용 실태조사에서도 어린이집을 다니는 가장 큰 이유로 ‘아동발달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41.0%)'가 꼽혔다. ‘생업/취업으로 직접 돌보기 어려워서’ 39.4%, ‘양육부담을 덜기 위해’가 14.6%가 뒤를 이었다.  

특히 아동발달을 위한 교육을 위해 어린이집을 이용한다는 응답이 2020년 21.4%에서 2022년 41.0%로 약 20%p나 증가했다.  

주변의 어린이집들이 문을 하나둘씩 닫으면서 그 피해는 1차적으로 유아들과 학부모가 받게 되지만 2차적으로는 어린이집 교사와 직원들까지 영향의 바운더리에 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어린이집에 대한 필요성이 앞선 통계결과에서 보듯, 계속 증가할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폐업하는 어린이집의 경영상황이 더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정부가 나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